소근육 (type I) : 분절적 안정화
대근육 (type II) : 체간의 안정성, 힘 생산
최소의 근육 기능과 동적인 움직임이 포함하여 근육 간에 협응이 이뤄짐
소근육은 근육의 정지부와 기시부가 골격에 가깝게 구성
대근육은 기시부와 부착점이 구조를 둘러싸고 있고, 운동의 범위와 정렬을 조절
기능장애(dysfunction) : 대안정근(global stability muscle)과 대운동근(global mobility muscle)
사이의 근 길이 특성의 차이를 포함한, 근육동원의 불균형에서 발생한다.
소안정근(local stability muscle)은 조절되지 않는 과도한 외력이 관절에 발생하는 것(translation)에 대해,
충분한 분절 조절(segmental contol)을 제공하기에 부족하다.
운동동원의 변화 -> 정상적인 근활성과 근육동원 형태를 방해한다.
'◦ 무브먼트 컨디셔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.폐쇄운동사슬(CKC) & 개방운동사슬(OKC) (1) | 2012.08.22 |
---|---|
.우리 몸에 에너지원인 탄수화물과 지방은 연료로서 어떤 차이가 있을까? (0) | 2012.08.22 |
.굽은등을 위한 운동 (Swayback Exercise) (1) | 2012.08.19 |
척추 검사 (흉추후만, 요추전만) or Deep Squat (1) | 2012.08.19 |
.목어깨통증 : 흉쇄유돌근, 사각근 긴장 검사 (0) | 2012.08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