스트레칭 4

.외, 내복사근 스트레칭 (Brettzel 1.0 : Oblique Abdominis m. Stretching) [허리스트레칭]

양쪽에 외,내복사근은 몸통을 회전할 때 동시적으로 수축하는 근육입니다. 몸통(흉곽)이 오른쪽으로 회전되어 있다면 왼쪽 외복사근의 단축과 오른쪽 내복사근의 단축이 발생합니다. 이런 역학적인 구조는 일반적인 스트레칭으로 두 근육을 이완시키기가 힘들게 됩니다.하지만 지금 소개할 운동은 양쪽 복사근을 스트레칭을 시켜주면서 흉추의 움직임을 만들어주고, 장요근과 대퇴직근까지 이완시켜주는 아주 효과적인 운동입니다. 고객에게 이 운동을 적용하니 통증도 많이 감소하고 ROM도 많이 증가하였습니다. 자세적으로 발생한 기능적인 측만증 환자에게도 굉장히 효과적이었습니다. 방법은 밑에 사진처럼 옆으로 누워 양손으로 발과 허벅지를 잡고 화살표방향으로 시선과 ..

.목 통증 : 후두하근 운동(Suboccipitals m. Motor Control Exercise)

후두하근 운동(suboccipitals m. exercise)입니다. 후두하근은 후두골과 경추 1~2번 사이에 있는 심부 근육으로써, 작고 고유수용 성질을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에 머리의 섬세한 조절을 하는데 많이 기여하는 근육입니다. 이 근육은 상부교차증후군(upper cross syndrome)에서 본 것처럼 많이 단축(shortness)이 되어있지만 근력이 강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강화시켜주는 것이 효과적입니다. 물론 단축된 근육을 마사지해서 풀어준다면 더 좋겠지요^^ 밑에 동영상을 보면 기립자세에서 운동을 하고 있지만, 엎드려서 한다면 중력을 이기면서 하기 때문에 운동효과가 더 좋을 것입니다. 이 운동은 경추는 정렬된 상태에서 머리만 신전시키는 동작입니다. 대상 : 목 통증, 일자목, 상부교차증후..

.근육이완기법 Hold & Relax

Hold - Relax는 근육을 이완시킬 때 사용하는 기법입니다. 저는 자세에 불균형으로 인해 근육의 구축 등 근육을 이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데, 굉장히 효과적입니다. 다만 이 기법은 수축성 조직 즉, 근육과 건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서 효과적이나, 인대같은 비수축성 조직은 별로 효과적이지 못합니다. (그렇기 때문에 오십견엔 잘 분석하고 사용해야 합니다.) 이 기법은 관절의 가동범위가 제한이 있으면 가동범위의 최대로 위치시키고 그 위치에서 반대방향으로 근육을 등척성 수축을 시킵니다. 보통 수축 시간은 6~10초간이고요 이 시간에 치료사는 계속 저항을 주어 등척성 수축을 유도해야 합니다. 시간이 지나면 다시 관절을 최대로 ..